카톡이 생기기 전 문자로 간단한 대화를 주고받을 때, 짧은 문자로 최대한 의사 전달을 하기 위해서 일부러 띄어쓰기를 안 한 적이 있었다.
그런데 이게 습관이 되니 나중에는 잘하던 띄어쓰기도 점점 헷갈려서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다시 띄어쓰기를 했다.
신조어와 줄임말, 문법에 맞지 않는 합성어나 유행어가 흔히 쓰이고 그것을 모르면 시대에 뒤떨어지는 사람 취급을 받기도 하는 시대를 살고 있지만, 알면서 안 쓰는 것과 몰라서 못 쓰는 것은 다르기에 맞춤법에 대한 관심의 끈은 놓지 않으려고 한다.
그래도 어려운 건 어쩔 수 없다.
국립국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가나다의 상담 사례 중 틀리기 쉬운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대한 질의응답 내용을 보면 평소에 궁금해하던 내용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보면 생각지도 못했던 단어가 표준어이거나 그 반대인 경우가 있다.
자세한 것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의 국어 상담→온라인 상담(온라인 가나다)에서 확인할 수 있다.
함께 보면 좋은 맞춤법 관련 글
2020/09/09 - 접두사 '개' / 천민에서 사대부로 신분 상승?
접두사 '개' / 천민에서 사대부로 신분 상승?
"개는 억울하겠다. 플란다스의 개나 주인을 구한 진돗개처럼 충성스러운 개가 죽어도 사람들은 개죽음이라고 하니까." '집 나가면 개고생'이라는 광고가 유행할 때, 개죽음이란 단어가 안 좋은
gettingwings.tistory.com
한글날의 유래와 올바른 맞춤법
온갖 줄임말이 난무하고 근원을 알 수 없는 신조어가 일상어처럼 쓰이는 요즘 '바른말 고운 말'을 쓰자고 하면 바로 '꼰대'가 되겠지? 그래도 한글날을 앞두고 있으니 세종대왕님께 감사하는 마
gettingwings.tistory.com
2020/10/31 - 맞춤법 특급 도우미/카카오톡 채널 '우리말365'&'가나다전화(1599-9979)
맞춤법 특급 도우미/카카오톡 채널 '우리말365'&'가나다전화(1599-9979)
읽기 쉽고 쓰기 쉬운 우리말이라지만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쓸 때마다 헷갈린다. 글을 쓰다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에 확신이 없을 때 사전을 찾아 보기는 하지만 사전에 실리는 단어만으로는 궁
gettingwings.tistory.com
[질문] |
"찌개를 자박자박 끓인다.", "고등어를 자작자작 조린다."가 맞는 표현인가요? |
[답변] |
"찌개를 자작자작 끓인다.", "고등어를 자작자작 조린다."가 맞는 표현입니다. |
[질문] |
'100만 원대/100만 원 대'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? |
[답변] |
‘100만 원대’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. |
[질문] |
국립서울현충원에 "현충원은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이 영면해 계신 곳으로 다음 사항을 삼가바랍니다."(뒤에는 삼갈 목록이 제시되어 있음)라는 안내문이 있는데, '삼가바랍니다'가 맞는 표현인가요? |
[답변] |
'...을 삼가바랍니다'는 잘못된 표현이며 '삼가기(를) 바랍니다'의 형태로 써야 합니다. |
[질문] |
'그끄제', '그글피'는 쓸 수 있는 말인가요? |
[답변] |
'그끄제', '그글피' 모두 쓸 수 있는 말입니다. |
[질문] |
'두름', '쌈', '접', '쾌'는 각각 어떤 단위를 나타내나요? |
[답변] |
'두름'은 '조기 따위의 물고기를 짚으로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을 세는 단위'나 '고사리 따위의 산나물을 열 모숨 정도로 엮은 것을 세는 단위'를 나타내는 말로 '청어 한 두름', '취나물 세 두름'과 같이 쓰입니다. |
[질문] |
'만나 봬서/뵈서'에서 뭐가 맞나요? |
[답변] |
'만나 봬서'가 맞습니다. |
[질문] |
'며칠'을 '몇 일'이 아니라 '며칠'로 표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며칠'의 어원이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. |
[질문] |
'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다'가 잘못된 표현인가요? '머리카락을 자르다'라고 해야 하나요? |
[답변] |
'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다'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. |
[질문] |
'역할'과 '역활' 중 어느 것이 맞나요? |
[답변] |
'역할'이 맞습니다. |
[질문] |
'유도리 있게 일을 하다' 할 때 '유도리'는 "표준국어대사전"에 없던데 '융통성'으로 고쳐야 하나요? |
[답변] |
'융통성'으로 다듬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. |
[질문] |
'이면수구이'의 어디가 틀린 거예요? |
[답변] |
'이면수구이'의 '이면수'는 표준어가 아닙니다. |
[질문] |
줄임표를 '...'으로 표기할 수 있다면, 문장 끝에 올 때 마침표를 포함하여 '....'으로 적는 게 맞나요? |
[답변] |
줄임표가 문장의 끝에 올 때 '....'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. |
[질문] |
'칠칠맞다'와 '칠칠하다'는 의미가 반대인 말인가요? |
[답변] |
아닙니다. |
[질문] |
한국+인' 이면 합성어 아닌가요? |
[답변] |
‘한국인’은 합성어가 아닙니다. |
[질문] |
'비까번쩍하다'가 일본어에서 온 말이라는데 무엇으로 바꿔 써야 하나요? |
[답변] |
'비까번쩍하다'는 '번쩍번쩍하다'로 바꿔 씁니다. |
[질문] |
'뽀록나다'가 일본어에서 온 말이 맞나요? |
[답변] |
'뽀록나다'의 '뽀록'은 일본어에서 온 말이 맞습니다. |
[질문] |
'40여 년'과 같이 숫자 다음에 '-여'와 같은 접미사가 붙으면 '40여년'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나요, '-여' 때문에 '40여 년'으로 띄어 써야 하나요? |
[답변] |
'40여 년'으로 띄어 써야 합니다. |
[질문] |
'가십시오', '가십시요' 중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가십시오'가 바른 표기입니다. |
[질문] |
'television'의 외래어 표기는 '텔레비전'인가요 '텔레비젼'인가요? |
[답변] |
'television'은 '텔레비전'으로 적습니다. |
[질문] |
'juice' 외래어 표기는 왜 '쥬스'가 아니고 '주스'인가요? |
[답변] |
'juice'는 그 발음이 [dʒuːs]로 나기 때문에 '주스'로 적습니다. |
[질문] |
'운전 중', '운전중'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운전 중'으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. |
[질문] |
'밟습니다'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밟습니다'의 표준 발음은 [밥ː씀니다]입니다. |
[질문] |
'끊일 듯 말 듯'이 맞나요, '끊일듯 말듯'이 맞나요? |
[답변] |
'끊일 듯 말 듯'이 맞습니다. |
[질문] |
"언젠가 {한번/한 번}은 뭔가 수상쩍은 분위기를 느낀 적이 있다."에서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한번'으로 붙여 씁니다. |
[질문] |
"나는 언젠가 {한 번쯤/한번쯤} 너와 데이트할지도 모르겠다."에서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? |
[답변] |
"나는 언젠가 한 번쯤 너와 데이트할지도 모르겠다."와 같이 띄어 씁니다. |
[질문] |
'10%'를 말할 때 '1부'라고 해도 되나요? |
[답변] |
'1분' 또는 '1푼'이라고 해야 합니다. |
[질문] |
'아니오'와 '아니요'는 어떻게 다른가요? |
[답변] |
'아니요'는 윗사람이 묻는 말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쓰는 감탄사로 “네가 유리창을 깨뜨렸지?”라는 질문에 “아니요, 제가 안 그랬어요./예, 제가 그랬어요.”처럼 '예'에 상대하여 쓰이는 말입니다. |
[질문] |
'어차피'와 '어짜피'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? |
[답변] |
'어차피'가 표준어입니다. |
[질문] |
'달리기에서 {일등/일 등}을 하다'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둘 다 맞습니다. |
[질문] |
'길동이가'의 '-이'는 무엇인가요? |
[답변] |
'길동이가'의 '-이'는 접미사입니다. |
'정보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능 선물 추천 BEST 5 (0) | 2020.11.05 |
---|---|
플레이보드(PLAYBOARD) / 유튜브 순위 알아 보기 (0) | 2020.11.03 |
맞춤법 특급 도우미/카카오톡 채널 '우리말365'&'가나다전화(1599-9979) (0) | 2020.10.31 |
이날치 / 한국관광공사 홍보 영상 & 범 내려온다 (0) | 2020.10.29 |
고구마맛탕 만드는 법 / 라면 끓이기만큼 쉽게~ (0) | 2020.10.27 |